|
 |
 |
|
주제토론
|
(의학적 주제) 감의 효능에 대해 |
 |
|
글쓴이 : kopsa
날짜 : 08-09-23 10:10
조회 : 7236
|
|
|
감의 효능에 대해(주제 토론의 의학적 주제로 이 글을 게시합니다)
집에 감 나무가 두 그루 있습니다. 하나는 대봉감이라고 하는가요? 큰 감이 달리고 다른 하나는 일반 감이 달리는 종입니다. 올해는 감이 많이 열렸습니다. 엊그제 처음으로 10개를 따서 쟁반에 담아 놓았습니다. 옥션에서는 감 100개에 1만원이라는 말을 들었으나 다 정성입니다.
인터넷에는 감나무 사진이 많습니다. 아래 ‘가을과 감’ 하나를 링크합니다.
http://kr.blog.yahoo.com/lysook7/1051.html
1, 감의 효능과 부작용
감의 효능은 아래 유태종 박사가 정리한 것이 있는데, 당분과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등이 풍부한 식품입니다. 그리고 타닌(tannin)에 관한 것이 있는데, 타닌은 가수분해 되는 것과 축합형 타닌 두 종류가 있습니다. 축합형 타닌도 분자량이 크지 않은 것은 물에 녹는다고 합니다. 익기 전 감의 떫은맛은 다량의 타닌이(성숙하면 타닌의 양이 줄어듭니다) 타액 중의 당단백과 결합한 맛이라고 합니다.
어떤 타닌이건 타닌은 단백질과 잘 결합합니다. 이 수렴작용은 손상된 장 벽의 복구에 도움이 되며 또한 이로 인해 장에 대한 자극이 줄어드는 등 설사를 멈추게 합니다. 반대로 타닌은 장내 음식 등 모든 단백질에 결합하여 변비의 원인이 됩니다. 이 결합은 철과 같은 무기 이온과 함께 일어나기 때문에 철의 흡수를 막습니다. 그러나 감만 먹지 않는 이상 빈혈의 위험성은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유태종 박사의 감의 효능
http://blog.naver.com/seahost/20033557979
2. 한의학적 효과 해석, 약성
감(또는 감 타닌)이 뇌일혈, 뇌졸중, 고혈압에 좋다는 것도 있는데, 아마도 이 효과는 타닌이 장출혈을 멎게 한다, 그래서 뇌 모세혈관의 출혈을 멎게 한다는 연상에 기인한 것이 아닐까 의심합니다. 이것은 다분히 감이 ‘차다’는 약성과도 관련되었을 것입니다. 한의학적으로 고혈압이나 뇌졸중은 열이 많아 생기는 것인데, 찬 약성의 감이 효과가 있다고 보았을 것입니다.
약성이라면 약성이 더운 인삼은 고혈압 환자에게 나쁘다고 하는데, 인삼이 오히려 고혈압에 좋다는 논문은 어떻게 설명하는지요? 연초인삼연구원(KT&G 연구원)의 “고려인삼의 약성에 대한 과학적 이해”에는 인삼의 성분에 따라 그 작용에서 때론 차게 때론 덥게 나타난다는 것 같습니다. 이들은 약성을 과학적이라고 보는 것일까요?
3. 한방의 과학화
한방의 과학화는 약성이니 무엇이니 고대인의 사고는 잊고 감이면 감, 인삼이면 인삼, 무엇이건 하나하나 성분을 분리, 효과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참으로 어려운 과제입니다. 그래서 안전성 효능성 기준에 맞는 유용한 것이 있으면 추려내고 아마도 대부분 폐기될 운명이라고 예측합니다.
(위에 감의 효능으로 기술한 것은 식품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또한 이 글과 관련하여 무엇이건 다른 의견이 있는 분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타닌 하나 공부도 쉽지 않습니다. 타닌의 용해도 부분은 게시 후에 곧 수정했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