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학/철학
초심리학/잠재능력
UFO/신물리학
오컬티즘/미스터리

과학적, 비과학적 의학
동서양 대체의학

창조론/과학적 사실성
창조론/철학과 정치

스켑틱스/기타 주제
KOPSA 박물관

 

대중매체 모니터링
질문과 답

토론방법
토론사례

연구회원 게시판
연구위원 게시판

 

과학적, 비과학적 의학
   
  BBC 가습기 살균제 보도, 옥시RB 대표 때리는 장면
  글쓴이 : kopsa     날짜 : 16-06-06 08:39     조회 : 1969    
BBC 가습기 살균제 보도, 옥시RB 대표 때리는 장면

최근 KOPSA에서는 아래 링크1의 글을 통해 가습기 살균제의 성분 PHMG의 흡입으로 인한 위해의 정도를 유사 중합체인 PHMB와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함께 PHMB를 다루어온 미국과 유럽에 비추어 우리 정부와 기업의 책임도 확인하였습니다.

(링크1, C&EN 가습기 살균제 보도와 우리 정부와 기업의 진실)
http://www.kopsa.or.kr/gnu4/bbs/board.php?bo_table=Medical&wr_id=177

1. 주한 영국대사관 시위

그 다음에 곧 환경단체에서 주한 영국대사관을 찾아 시위하였다는 기사를 보고 링크2의 글을 게시하였습니다. Reckitt Benckiser(RB)와 같은 60여개 국가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기업에서 그 기업의 활동을 직접 영국 정부와 연관시키기 어렵다는 의미의 글입니다.

(링크2, 가습기 살균제와 영국 대사관, 차라리 환경부 앞 데모하라)
http://www.kopsa.or.kr/gnu4/bbs/board.php?bo_table=Medical&wr_id=181

2. C&EN에 보도된 옥시RB 대표에 대한 폭력 행위

링크1의 서두에서 언급한 C&EN(화학과 공학의 뉴스)은 15만 명 이상의 회원을 가진 미 화학회의 뉴스레터입니다. 그 기사에는 옥시RB의 대표가 사과하는 가운데 피해자의 인척으로 보이는 사람의 거센 항의 장면을 사진으로 실었고, 내용 중에는 “머리 뒤를 때렸다(hit in the back of the head)"는 표현도 있었습니다.

이 때렸다는 것이 무엇인가 던져 머리에 맞았다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어제 우연히 발견한 아래 링크3의 BBC 기사에는 직접 때리는 장면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장면은 머리 뒤가 아니라 목뒤를(in the back of the neck) 때리는 모양입니다. 같은 의미인가요? 아니면 당시 두 가지 때리는 장면이 모두 있었는지요? 

(링크3, RB sold deadly sterilisers in South Korea)
http://www.bbc.com/news/world-asia-36185549

3. 수백만 달러의 인도적 기금?

앞서 링크1의 글에 “나는 그 많은 임신부와 어린아이를 간질성 폐렴으로 사망하게 한 가습기 살균제를 생산 판매한 옥시RB의 책임이 막중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검찰과 언론이, 정황적으로 문제를 몰고 가는 사회분위기가 옥시 가습기 살균제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지장을 초래할까 염려합니다.”라고 적었습니다.

그래서 피해자 등 반경에서 주한 영국대사관에 시위하고 그 이전에 직접 영국으로 건너가 RB에 시위하는 장면을 보았지만 나는 이것이 RB나 옥시RB에게 달라지는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링크3의 BBC 보도에는 옥시RB의 대표가 피해자와 가족을 위해 “수백만 달러의 인도적 기금(a multi-million dollar humanitarian fund)을 설치할 것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 법적인 보상 대신에 인도적 기금이라는 말이 왜 나옵니까?

4. Possible, Likely에 대해 

앞의 링크3 BBC 기사의 밑에는 별도로 RB의 대변인이 BBC 기자에게 “한국 정부에서는 현재까지 177 사례를 이 제품과 연관시켰다. 그러나 ‘possible victim’을 확인하는 과정은 아직 완결되지 않았다”고 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어 RB 대변인은 “그 병이 가습기 살균제로 인하여 생겼음이 ‘likely or very likely’ 한 사람(희생자)에게 보상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possible(그럴 수도 있다), likely(그럴 것 같다) 등은 인과관계에서 서로 다른 표현입니다. 옥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간질성폐렴의 발생의 점에서 “Possible"은 ”그럴 수도 있지만 다른 질병 또는 원인에 의한 병일수도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Likely"는 “임상적으로 그 간질성폐렴이 가습기살균제에 의해 발생한 것 같다, 또는 그렇게 봄이 합리적이라는” 의미이며 “Very likely"는 ”Likely"보다도 “Certain(확실한)" 쪽으로 가까운 표현입니다. 

5. 유능한 변호사와 지원팀

앞서 링크3 BBC 보도와 별도의 제목에는 RB의 2015년 세전이익이 32억 달러라고 나타나 있고 RB는 어려운 경제적 환경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도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한 글도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하여 한국에서 벌어지는 온갖 소란에도 불구하고 RB 자체는 끄떡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 반경에서는 모든 문제의 해결은 법에 있음을 알고 유능한 변호사와 지원팀을 꾸려 장기적 싸움에 대비하여야 하지, 어디 때리고 시위하는 행위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